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언어
- web 사진
- 자료구조
- java역사
- postorder
- classification
- bccard
- mglearn
- cudnn
- 데이터전문기관
- pycharm
- 재귀함수
- vscode
- 결합전문기관
- CES 2O21 참가
- tensorflow
- web 개발
- web
- paragraph
- CES 2O21 참여
- 웹 용어
- Keras
- inorder
- KNeighborsClassifier
- 대이터
- 머신러닝
- web 용어
- discrete_scatter
- broscoding
- htm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88)
bro's codi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hmFn/btqYQwAesUH/5NXonaKYRPrSCF1tFuRizK/img.jpg)
association(사용하는 관계) : use a aggregation(집합, 집단화) : has a composition(구성) : consist of OOAD(객체 지향 분석 설계) > UML( Class Diagram ) > Object와 Class의 관계 : 붕어빵과 붕어빵틀, 건물과 설계도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운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bkKv/btqYnoo4Pj7/cWZve76fkVOsUQ0IBkXxv0/img.jpg)
class Person{ Person(){ // 생성자(Constructor) } } 생성자(constructor) : 객체 생성시 실행되는 영역 > 객체 생성시 필요한 초기화 작업을 명시 클래스에 생성자가 명시되지 않으면 컴파일시에 기본 생성자를 삽입 클래스 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성자가 존재하면 삽입하지 않음 생성자 명은 클래스명과 동일해야함 생성자는 리턴값이 없음 클래스에 생성자가 명시되지 않으면 컴파일시 기본 생성자를 삽입 (클래스 내에서 하나 이상의 생성자가 존재하면 삽입하지 않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NYEK/btqYnnp8aaS/IKzLgdc9DrksiLuZZpmXWK/img.jpg)
시스템의 기본단위를 객체로 상정하고 객체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설계하는 기법 객체(Object) > 시스테므이 기본 단위, 속성과 기능으로 구성 클래스(Class) > 설계도, 객체 생성을 위한 틀 객체와 클래스의 관계 > 붕어빵과 붕어빵틀, 건물과 설계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JOuw/btqYn4XpDL4/OvkkY14uaVjFvn073rctk0/img.png)
StarUML UML 2 Compatible with UML 2.x standard metamodel and diagrams: Class, Object, Use Case, Component, Deployment, Composite Structure, Sequence, Communication, Statechart, Activity, Timing, Interaction Overflow, Information Flow and Profile Diagram. SysML Sup staruml.i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GAzM/btqYebqGhO0/FHqNZHzPKDRo4A7ltfe7Tk/img.jpg)
Encapsulation(캡슐화) : 인터페이스와 구현부를 분리해서 정의 "public interface, private implementation" 인터페이스는 공개하고 구현부는 감춘다. >응집도를 높이고 결합도를 낮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만 알면 구현부를 몰라도 사용할 수 있음 > 생산성 향상 >구현부가 업데이트 되어도 외부 영향 최소화 > 유지 보수성 향상 Encapsulation적용의 장점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과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 생산성 : 인터페이스만 알면 구현부를 몰라도 사용할 수 있음 유지보수성 : 구현부가 업데이트 되어도 인터페이스(소통부)가 유지되므로 외부 영향이 없음 인터페이스 : 외부와 소통하는 역할 구현부(implementation) : 해당 단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aTusK/btqYbIWAmzG/tu0qYLKrWLbCfIZ6HHyBL0/img.jpg)
public>protected>defalut>private public : 어디서든 접근 가능 prodected : 동일한 패키지 내애서만 접근 가능(단, 상속시에는 다른 패키지도 가능) default : 동일한 패키지 내에만 접근 가능 private : 자신의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UrDC/btqYmGWPi2U/0mhtvZIY3kgoEoesluGak1/img.jpg)
public void search(String keyWord){ //내용 } public void search(String keyWord){ // data base에서 조회 return result; } 메서드 리턴타입 영역에 void가 명시되면 해당메서드는 실행 후 리턴값이 없다는 표현이다. 메서드에 메서드 실행 후 호출한 곳으로 정보를 반환하는 경우에는 메서드 리턴타입 영역에 반환하는 정보의 타입을 명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