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glearn
- bccard
- 데이터전문기관
- classification
- Keras
- 머신러닝
- KNeighborsClassifier
- inorder
- 대이터
- tensorflow
- discrete_scatter
- web 사진
- web 용어
- 웹 용어
- web 개발
- 자료구조
- vscode
- CES 2O21 참가
- java역사
- web
- 결합전문기관
- html
- postorder
- pycharm
- CES 2O21 참여
- broscoding
- paragraph
- cudnn
- 재귀함수
- C언어
- Today
- Total
목록[IT]/[Computer Network] (5)
bro's coding

단위시간당 얼마나 source가 잘 도착했는지! throughput은 실재 도착한 량 Bandwidth는 최대 가능성을 의미

Network Core end system들 사이의 data를 주고 받기 위해 데이터가 흘러가는 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 > forwording : 결정된 경로에서 packet이 왔을때, packet에 적혀있는 destination을 보고 갈 길을 정해 보냄 > routing : source의 destination까지 가는 최선의 경로가 무엇인지 결정

Circuit switching 회로 단위로 Packet을 전송 > 전화망으로 부터 시작 장점 : data가 물흐르듯 흘러갈 수 있음 단점 : 동시에 동일한 목적지로 신호를 흘려보낼 수 없음

Packet Switching : Data를 Packet단위로 나누어 전송 > data를 간헐적을 주고받는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source와 destination사이의 자원을 dedicate하는것 보다 packet단위로 잘르고 섞어 개별 packet들 마다 목적지를 판단해 보내는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장점 : 한 번에 여러 목적지로 향하는 packet을 섞어 보낼 수 있음 단점 : 딜레이 발생 / 병목현상 발생시 packet이 버려짐 / 자원을 dedicate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게 단위시간당 일정한 양을 보내는 것에 적합하지 않음

Network edge : computing 능력을 가진 단말들이 존재 Access network : 단말들이 네트워크의 중심에 연결되게 하기위한 길을 제공 > Home network / Enterprise access networks(Ethernet) + Cellular Network (A와 B가 chat을 어떻게 하는지) + Data Center Network + Vehicular Ad hoc Network + Tactical Network + Wireless Sensor Network +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Wireless Body Area Network + Outer Space Network + Underwater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