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ES 2O21 참여
- java역사
- tensorflow
- 자료구조
- web 개발
- 대이터
- 웹 용어
- 머신러닝
- mglearn
- pycharm
- classification
- bccard
- inorder
- 결합전문기관
- 데이터전문기관
- 재귀함수
- postorder
- cudnn
- C언어
- Keras
- CES 2O21 참가
- broscoding
- discrete_scatter
- KNeighborsClassifier
- paragraph
- web 용어
- web
- vscode
- web 사진
- html
- Today
- Total
목록[IT] (431)
bro's coding
Model2 MVC Basic 총회원수 조회 회원검색 FindMemberByIdServlet MemberDAO | | Model 연동 | 회원이 존재하면 | request.setAttribute("memberVO",vo) | forward find-ok-view.jsp | 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 forward find-fail-view.jsp | View( find-ok-view.jsp ) request.getAttribute("memberVO") or View (find-fail-view.jsp ) alert() -> 회원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location.href="findMemberById-form.jsp"; --%> 아이디 검색 검색결과 아이디 이름 주소 총 회원수 명 packag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VL0S/btq2rzGRXvP/HiGfplHTv4y6hfLALxrVQK/img.png)
Servlet(Controller)에서 JSP(View) 로 제어를 이동하는 방식 1. forward : request와 response가 유지된다 필요시 request 의 setAttribute(name,value) 를 이용해 정보를 공유하고 View에서는 request.getAttribute(name) 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웹컨테이너 상에서 이동되므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의 url은 변경되지 않는다 재요청시 기존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ex) request.setAttribute("cvo", vo); request.getRequestDispatcher("select_ok.jsp").forward(request, response); 2. redirect : 응답(respons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EUuk/btq2plIQHRi/0hKXNuxYx4vG7cS3OKFZXk/img.png)
Model2 Architecture MVC Design Pattern - Model2 설계방식의 근간을 이루는 설계패턴이 MVC - 통상적으로 Model2 or MVC or Web MVC Model : 주기술은 Java Beans ( Java Component )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액세스 로직을 담당 View : 주기술은 JSP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화면 (or 데이터)를 제공 Controller : 주기술은 Servlet 웹 어플리케이션 제어자의 역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분석 , 요구사항에 의거해 Model 과 연동 적절한 이동방식으로 View를 선택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게 한다 Model 과 View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초기 웹 개발방식 JSP Database 초기 웹 개발방식: jsp에서 바로 데이터베이스 연동 총회원수 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geXe/btq2sZrIIjq/sTOY6c9seGmzqneXp3Rjok/img.png)
Model1 Architecture JSP Java Beans(component) Database JSP : client의 요청을 분석하고 Java Beans와 연동해서 적절한 결과를 응답하는 역할 Java Beans : 자바 클래스들로 구성된 컴포넌트 , DB 연동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 ( 참고 : 컴포넌트란 객체들이 상호 연동되어 독립적 기능 단위를 구성할 때 컴포넌트라고 한다) package org.kosta.webstudy12.model;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PreparedStatement; import java.sql.ResultSet; import java.sql.SQ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cBWj/btq2tmAdnFZ/m8P92EDXcuImdocWVEzk11/img.png)
1. form 아이디 주소 당신의 아이디는 입니다 당신이 사는 곳은 입니다 2.query string step2 action test1 step2 action test2 글번호 번 음식명 쫀드기 3. post 이름 나이 = 19) { %> 성인 미성년 이름 나이 세 4. radio 메뉴를 선택하셨습니다 5. select1 -호선- 호선 호선을 선택하셨습니다! 6. select2 -호선- 호선 7. checkbox NO MENU 8. form 이름 나이 입장하기 = 19) { %> 님 즐거운 성인영화 관람되세요! 즐거운 어린이 영화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rQ8H/btq14YgjyHr/NfQHYxmoSFy5R5Hc7jPDUK/img.png)
**JSP 기본** JSP ( Java Server Page ) : 동적인 웹페이지 개발을 위한 기술 서블릿과 다르게 HTML 페이지 상에서 자바코드(JSP Tag)를 삽입하는 형태로 개발 JSP 는 WAS(Web Container) 에 의해 Java class 로 생성되어 실행된다 이 Java class는 HttpServlet의 자식 클래스이다 ( JSP is a Servlet ) 생성된 java class는 tomcat/work 디렉토리 내에 위치된다 Model 2 Architecture MVC 에서는 JSP는 View 역할 담당 , Servlet은 Controller 의 역할을 담당한다 Java component(or Java Beans) 는 Model 역할을 담당한다 JSP 기본 문법 1) 주석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vPVt/btq12wqRebZ/ErYC0EKajBKhcMHZKdP3ek/img.png)
**Session 과 Cookie** Http 특성 : Stateless ( 사용자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 ) 세션 관리 : 사용자 정보를 일정 조건동안 유지 Cookie : 사용자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 저장 용량의 제한 ( 4KB ) , 데이터타입은 문자열로 한정 Cookie 유효시간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브라우저 실행시에만 유효하다 Cookie 유효시간을 설정하면 그 유효시간 내에서만 쿠키를 사용할 수 있다 유효시간이 지나면 브라우저에서 삭제된다 ( 즉 사용 불가 ) HttpSession 을 이용한 로그인 로그아웃 처리시에 내부적으로 Cookie가 이용된다 다시 말하면 HttpSession 은 내부적으로 Cookie를 이용한다는 의미임 HttpSession : 사용자 상태 정보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DUPr/btq12wpwCyL/dMBHxpKeLTNkP50Qmspp90/img.png)
웹어플리케이션 실행 ( 서비스 시작 ) 1. WAS(or Web Container) 는 자신의 설정 정보인 web.xml 과 @WebServlet 과 같은 어노테이션 설정 정보를 로딩 2. ServletContext를 생성 3. ServletContextListener 를 implements 한 클래스의 contextInitialized() 가 실행 4. 개별 서블릿 요청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