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결합전문기관
- broscoding
- KNeighborsClassifier
- CES 2O21 참여
- discrete_scatter
- 웹 용어
- 재귀함수
- postorder
- mglearn
- CES 2O21 참가
- html
- web 개발
- paragraph
- pycharm
- inorder
- 대이터
- bccard
- tensorflow
- C언어
- 머신러닝
- cudnn
- vscode
- web 사진
- Keras
- classification
- web
- java역사
- 데이터전문기관
- web 용어
- 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IT] (431)
bro's coding

try 예외 상황 발생 예상 지점을 블럭화 catch 예외 상황 발생시 처리하는 영역 > 대안 흐름(대처 방안) case1 package step3; public class TestExceptio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Exception이 발생되면 JVM은 Exception메세지를 보여주고 실행을 중단 String str = "아이유"; str = null; System.out.println(str.length());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정상종료**"); // 적절한 Exception Handling 필요 } }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ullPointerExcept..

finally 예외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실행 비정상 종료시에도 finally는 실행 됨 ex)입출금기에서 에러 혹은 예외가 발생해도 카드를 반환해줘야 할 때 사용 package step3; public class TestException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코드 실행 결과 예상 String age = "21"; //age = "스물한살"; try { int intAge = Integer.parseInt(age);//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System.out.println(intAge + 1);// 22 } catch (NullPointerException ne) { System.out.println("b");// 실행 안 됨 } ca..

Excetion Handling(예외 처리) Exception : 예외 / Error : 에러 Exception Handling(예외처리) : 프로그램 실행시 예외적 상황 발생에 대한 대안흐름(대처방안)을 실행하고 프로그램을 정상 수행하는데 있음 > Exception Handling을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JVM의 기본 속성은 예외 Exception을 발생시키고 시스템 종료 try 예외 상황 발생 예상 지점을 블럭화 catch 예외 상황 발생시 처리하는 영역 > 대안 흐름(대처 방안) java.Exception Handling(예외 처리).try/catch try 예외 상황 발생 예상 지점을 블럭화 catch 예외 상황 발생시 처리하는 영역 > 대안 흐름(대처 방안) case1 package step3..

Map key와 value 쌍으로 저장 주로 key로 검색, 삭제 참고) set: 중복 인정X / List : index로 관리 import java.util.LinkedHashMap; package step2; import java.util.Collection;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LinkedHashMap; import java.util.Set; public class TestMap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Map map = new HashMap(); // Generic > 데이터의 종류, Generic을 적용하면 Casting 절차 감소, 데이터의 안정성 LinkedHashMap..

Stack : Last In First Out(LIFO) 마지막에 추가된 요소가 먼저 추출되는 자료구조 Queue : First In First Out(FIFO) 먼저 추가된 요소가 먼저 출력되는 자료구조 Stack package step1;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TestStac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ack stack = new Stack(); stack.push("a"); stack.push("b"); stack.push("c"); System.out.println(stack); // [a, b, c] System.out.println(stack.pop()); // c System.out.print..

ArrayList : 검색에 적합, 인덱스(첨자)로 관리 0부터 시작 LinkedList : 빈번한 삽입과 삭제에 적합, 요소의 앞 뒤의 참조를 가지고 있음

package model;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Iterator; public class SchoolService {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Person(Person p)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for (int i = 0; i < list.size(); i++) { if (list.get(i).getTel().equals(p.getTel())) { System.out.println("중복중복!!!"); return; } } list.add(p); System.out.println("입력 완료!!!"); System.out.println(p)..

Network Core end system들 사이의 data를 주고 받기 위해 데이터가 흘러가는 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 > forwording : 결정된 경로에서 packet이 왔을때, packet에 적혀있는 destination을 보고 갈 길을 정해 보냄 > routing : source의 destination까지 가는 최선의 경로가 무엇인지 결정

Circuit switching 회로 단위로 Packet을 전송 > 전화망으로 부터 시작 장점 : data가 물흐르듯 흘러갈 수 있음 단점 : 동시에 동일한 목적지로 신호를 흘려보낼 수 없음

Packet Switching : Data를 Packet단위로 나누어 전송 > data를 간헐적을 주고받는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source와 destination사이의 자원을 dedicate하는것 보다 packet단위로 잘르고 섞어 개별 packet들 마다 목적지를 판단해 보내는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장점 : 한 번에 여러 목적지로 향하는 packet을 섞어 보낼 수 있음 단점 : 딜레이 발생 / 병목현상 발생시 packet이 버려짐 / 자원을 dedicate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게 단위시간당 일정한 양을 보내는 것에 적합하지 않음